오늘은 겜스고(GamsGo) OTT 스트리밍 공동쉐어 서비스를 이용하여 넷플릭스를 4천원대에 시청 가능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할인 코드까지 포함되어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OTT 가입시 프로모션 할인 코드 NPGKK 를 넣으시면  3%가 추가 할인 됩니다.

겜스고에서 할인코드를 넣지 않아도 됩니다만 할인 코드를 사용하시면 3% 절감되니 넣으시는게 좋아요.

할인코드 넣는다고 해서 가입시 문제되는건 없고 제가 아래처럼 열심히 홍보글 만든거에 대한 작은 배려로 생각해주시면 되세요. ^^

 

이제 시작합니다.

 

겜스고(GamsGo)

https://ko.gamsgo.com/partner/cHmzthT7

 

https://ko.gamsgo.com/?promote=cHmzthT7

 

ko.gamsgo.com

 

메인 화면

 

 

이용 방법은

각 항목에서 "지금 구입" 버튼 클릭 후 진행하시면 되는데,

우선 로그인을 해야하니 회원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 할인이 적용된 하기 링크를 클릭하셔서 가입 진행하세요.

https://ko.gamsgo.com/partner/cHmzthT7

 

https://ko.gamsgo.com/?promote=cHmzthT7

 

ko.gamsgo.com

 

 

회원 가입은 별도 절차 없이 손쉽게 이메일 주소만으로도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 후 하기 구입 기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3, 6, 12개월로 신청가능하네요.

이전은 1개월부터 있었는데... 이게 변경되었네요.

 

위 프로모션에 할인 코드

NPGKK 를 넣으시면  3%가 추가 할인 됩니다.

 

넣기 귀찮으시면 하기 링크를 클릭하셔도 되세요.

 

* 할인이 적용된 하기 링크를 클릭하셔서 가입 진행하세요.

https://ko.gamsgo.com/partner/cHmzthT7

 

https://ko.gamsgo.com/?promote=cHmzthT7

 

ko.gamsgo.com

 

 

저의 경우 6개월 가입하였고 가입하시면 하기처럼 정보가 나옵니다.

하기 쿠폰적용으로 일부 할인되었어요.

<제의 계정 이메일은 지웠어요>

 

 

구독보기를 누르시면 상세한 정보가 나오며,

넷플릭스 실행시에 로그인할 이메일과 비밀번호가 제공되고,

프로필 중 본인에게 할당된 번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한국분과 매칭이 되었고 3번으로 할당되었네요.

 

 

 

이제 완료되었고요.

 

넷플릭스 들어가서 로그인 후 비번 넣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한가지.. >> 언어설정!!

본인 프로필에서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하셔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이상한 나라 메뉴가 나와서 보기가 어려워요.

 

저는 이 부분이 제일 주요했어요

저는 3번이고 하기처럼 나오는데 "언어 설정"을 반드시 하셔야 합니다.

 

 

프로필 선택하셔서 하기 language를 한국어로 변경하셔야 원하는 컨텐츠가 한글 메뉴 및 한글화된 영상들 위주로 나옵니다.

 

 

한글 선택 후 저장 .

본인의 프로필로 들어가면 짜잔~!!

한글로 나옵니다.

처음 겜스고 가입 후 이상한 글자가 나와서 고생했어요..

 

 

이상 공유형 OTT 서비스 사용 방법이였습니다.

 

마지막!

저에게 제일 주요했던것..

 

모르는 분들과 계정공유이다 보니, 가급적 프로필에는 개인정보는 피하시고,

저 처럼 프로필 lock 설정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부분은 대 부분 잘 모르시기에 방법을 알려드려요.

 

설정방법)

PC나 핸드폰에서 넷플릭스 로그인을 합니다.

 

하기는 PC 화면이예요.

언어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한국어로 바꾸시고요.

 

본인 프로필로 로그인 한 후 오른쪽 상단에 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계정으로 들어가세요.

다른설정은 변경하지 마세요. 다른 분들에게도 민폐입니다.

 

본인의 프로필에서 메뉴를 선택합니다.

 

 

본인 프로필 클릭하면 하기처럼 본인 개인 프로필 설정 메뉴가 나오고

여기서 프로필 잠금을 설정하시면 되세요.

 

 

변경을 누르면 본인 계정(이메일)의 비빌번호를 적고 들어가세요.

이메일 비번은 넷플릭스 로그인시 사용된 이메일의 비번입니다.

혹 비번이 틀리시면 겜스고 구독으로 가셔서 다시 비번이 바뀐건지 확인해보세요.

여러 사람 공유이다보니 다른 분들이 비번을 바꿀수도 있어요.

 

프로필 잠금에서 4자리 PIN 번호 넣으시면 되세요.

1234,, 4543 이렇게.. 그리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저장하시면 하기처럼 프로필 잠금 성공으로 나오고,

본인 프로필 옆에 좌물쇠가 표시되요.

여기까지 오시면 성공.. 끝 입니다.

 

 

이제 본인 프로필을 보시면 잠금표시가 되어있고, 프로필 누르시면 설정된 PIN 번호를 입력해야 넷플릭스를 볼 수 있게되요.  그 외 시청연령등 여러 설정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고.

 

단. 다른 사람 프로필 건들면 안되요.. 공유하시는 분들끼리 암묵적 양심!!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겜스고 가입 페이지.

https://ko.gamsgo.com/partner/cHmzthT7

 

https://ko.gamsgo.com/?promote=cHmzthT7

 

ko.gamsgo.com

 

'세상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utlook 2013 설정 (exe, msi)  (0) 2015.03.26
티눈 치료 후기 6세  (0) 2014.01.29
티눈 치료 후기 (만5세)  (1) 2014.01.25

CString m_strPath, str;

CStdioFile rFile;

CFileException ex;

CFileDialog dlg(TRUE, _T("*.txt"), NULL, OFN_FILEMUSTEXIST | OFN_OVERWRITEPROMPT, _T("TXT Files(*.txt)|*.txt|"), NULL);

if (dlg.DoModal() == IDOK)

{

     m_strPath = dlg.GetPathName();

     rFile.Open(m_strPath, CFile::modeReadWrite | CFile::typeText, &ex);

while (rFile.ReadString(str))

{

     getFileString += (str + _T("\r\n"));

}

rFile.Close();

 

// edit control에 txt파일 쓰기

mFileView.SetWindowTextW(getFileString);

}

BOOL DeleteDirectoryFile(LPCTSTR RootDir)

{

if (RootDir == NULL) { return FALSE; }

BOOL bRval = FALSE;

CString szNextDirPath = _T("");

CString szRoot = _T(""); //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검사한다.

szRoot.Format(_T("%s\\*.*"), RootDir);

CFileFind find; bRval = find.FindFile(szRoot);

if (bRval == FALSE)

{ return bRval; }

 

while (bRval)

{

   bRval = find.FindNextFile(); // . or .. 인 경우 무시 한다.

   if (find.IsDots() == FALSE)

    {

    // Directory 일 경우 재귀호출 한다.

    if (find.IsDirectory())

    {

       DeleteDirectoryFile(find.GetFilePath());

     }

     // file일 경우 삭제

     else

     {

        bRval = DeleteFile(find.GetFilePath());

      }

    }

  }

find.Close();

bRval = RemoveDirectory(RootDir);

return bRval;

}

Bitbucket 사용 중 브랜치 forks 설명 기재


Git 

Forks란 다른 원격 저장소에 있는 히스토리를 그대로 나의 github 원격 저장소에 복사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사람의 프로젝트에 바로 push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나만의 프로젝트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연격 저장소에서 프로젝트를 가져온다.

 

그런다음에 내가 contributing을 원래 원격 저장소로 요청을 합니다. 한마디로 외부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나만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서 fork를 해서 외부 프로젝트에 반영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fork를 했다면 나의 github에 있는 저장소에서 로컬로 clone하여 사용한다.

fetch first

//master branch에 push한다. git push origin master //fatal: The current branch master has no upstream branch. 브랜치가 원격저장소에 없을경우 발생 git push -u origin master //-u 원격저장소에 master라는 branch를 생성하고 push한다. ! [rejected] master -> master (fetch first) 이미 변경된 파일이 원격저장소에 있을경우 발생 git pull origin master //pull -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가져와 로컬저장소의 내용과 자동으로 병합작업을 수행한다. //fetch -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확인만 하고 로컬저장소의 내용과 병합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원인

다른 누군가 master로 이미 push를 한상태에서 커밋을 했을떄 발생하는 에러

해결

fetch로 변경사항을 확인후 merge로 합치고 다시 push하면 된다.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8429819/rejected-master-master-fetch-first

 

! [rejected] master -> master (fetch first)

Is there a good way to explain how to resolve "! [rejected] master -> master (fetch first)'" in Git? When I use this command $ git push origin master it display an error message. ! [rejected...

stackoverflow.com

 

! [rejected] master -> master (fetch first)

Is there a good way to explain how to resolve "! [rejected] master -> master (fetch first)'" in Git? When I use this command $ git push origin master it display an error message. ! [rejected...

stackoverflow.com

not-fast-forward

git push -u origin master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원인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간에 공통 분모가 없는 상태에서 병합을 시도하여 발생하는 에러.

관련 없는 두 저장소를 병합하는 것은 안되도록 기본설정이 되어있다.

해결

git pull origin master --allow-unrelated-histories

위와 같이 관련없는 두 저장소의 병합을 허락해주도록 설정.

 

출처: https://blog.hjf.pe.kr/57

 

TortoiseGit을 이용해 Github에 저장소 생성 및 데이터 올리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질적으로 Github의 원격저장소에서 소스를 가져오고 수정하여 올리는 내용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절차대로 진행하겠습니다. 1, Github에 저장소 만들기 2, 로컬 저장소 만들��

blog.hjf.pe.kr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질적으로 Github의 원격저장소에서 소스를 가져오고 수정하여 올리는 내용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절차대로 진행하겠습니다.

1, Github에 저장소 만들기
2, 로컬 저장소 만들기
3, 로컬저장소에 저장
4, 원격저장소에 저장(Github에 반영)

 

Github에 저장소 만들기

우선 원격저장소를 생성하기 위해 Github(https://github.com)에 접속 후 로그인합니다.

저장소 생성
메인화면 우측의 "Your repositories" 옆의 [New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Project Name에 생성할 프로젝트 명(현재는 테스트를 위해 TEST입력)을 넣고 [Create reposityry] 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이 표시됩니다.

이후의 절차를 설명한 내용인데 우선은 무시하셔도 됩니다. 우리는 GUI를 이용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로컬 저장소 만들기

Global setup
탐색기를 열고 저장소로 사용할 적절한 위치(저는 C:\hjfactory)로 이동합니다.
이후 탐색기 빈공간에 우측마우스를 클릭하여 TortoiseGit > Settings 메뉴를 호출합니다.


좌측 메뉴 중 Git 항목을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본인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
(※ 이름의 경우 History 및 Log에 사용되므로 여러대의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구분되도록 합니다.)


로컬 저장소 생성
위의 탐색기에서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저는 C:\hjfactory\TEST)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그 폴더를 우측 마우스를 눌러 Git Create repository here... 메뉴를 호출합니다.


위의 메뉴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그대로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체크박스는 해당 저장소에서 작업을 안할경우 체크합니다.)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면 성공입니다.(다른 메시지는 본적이 없네요^^)

 

로컬저장소에 저장

저장 데이터 준비
위에서 생성한 폴더(C:\hjfactory\TEST)에 들어가 Readme.txt파일을 생성합니다.
(변경된 내용이 있어여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저장
다시 이전 경로(C:\hjFactory)로 이동 후에 우측마우스를 눌러 Git Commit -> "master".. 메뉴를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은 Commit 창이 보이면 수정된 내용과 적용할 파일(체크박스)를 선택 하고 [OK]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 수정한 내용이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것 입니다.
(이후 Push 버튼을 눌러 원격저장소에도 저장 할 수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에 저장(Github에 반영)

원격지 정보 등록

위의 화면에서 [Push]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고 원격지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Manage]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의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원격지 이름(Remote)와 원격지 주소(URL)만 입력하고 [Add New/Save]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지 정보를 저장합니다. 이후 [확인] 클릭

(※ 원격지 주소는 Github에서 저장소 만든 후 표시된 화면을 참고합니다.)


원격 저장소에 저장
위에서 원격지 정보를 등록하면 아래와 같이 Destination 목록에 위의 원격지 이름이 등록됩니다. 위에서 선택한 항목 선택 후 [OK] 클릭


드디어 마지막 단계 아래와 같이 성공 메시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 단계여서 메시지를 확대했습니다^^)


Github 등록 확인
다시 Github 사이트로 이동하여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면 아래와 같이 Readme.txt가 등록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저장소 생성 및 등록하는 내용을 마쳤네요.

'소스관리(C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서버 관리 - Forks  (0) 2020.06.12
Git fetch First, not fast forward  (0) 2020.06.11
tortoiseGit 사용 (undo commit, commit 취소)  (0) 2020.06.10

 

원본: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3289965/undo-git-commit-with-tortoisegit/46107792

 

#Undo Commit

#Commit 취소

 

실수로 혹은 다른 파일을 Commit한 경우, 해당 Commit을 취소하는 방법

 

 

0. 상황

 

위 이미지와 같이 실수로 Commit을 한 상황

"test"라고 된 Commit을 하기 이전 상황으로 돌리고 싶음

 

 

1. origin/HEAD origin/maseter 선택

 

2. 우클릭 -> Rest "master" to this... 선택

 

 

3. Mixed 선택

 

 

4. 완료

 

이렇게 master 표시가 test에서origin/HEAD origin/master 위치로 변경

하지만 여전히 Log Messages에 test가 남아 있어서 불안하다.

 

5. 검증 (Log Messages에서 Commit기록 삭제 확인)

 

 

이런 화면을 보고 싶었는데 4까지 완료하면

 

이렇게 보여서 불안하다.

 

하지만 정상적으로 진행된 것이 맞다.

 

4번까지 진행한 창을 끄고, show log를 이용해서 다시 켜서 확인 해보면

 

이렇게 commit한 기록이 삭제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https://manufacturingtv.co.kr/Event/104

'교육세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SW 인문 세미나  (1) 2014.11.24
2014 인문 + SW 컨퍼런스  (0) 2014.09.19
2014 기술 닥터 사업 공고  (0) 2014.02.17
2014년 업종별 신산업 보고서 안내  (0) 2014.02.14
CIO Summit 2014  (0) 2014.02.13

1. Clean Up
상위 폴더에서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TortoiseSVN ---> Clean UP 선택

팝업에서 확인을 눌러 청소하하시고 폴더 새로고침(F5)이나 재부팅

2. 레지스트리 수정

실행 ---> regedit 입력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ShellIconOverlayIdentifiers

안의 폴더 내용을 확인해 보면 Tortoise~... 폴더들이 하위에 위치해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을 상위로 이동시켜야 하는데요. 이름에 번호를 넣어서 상위로 이동시킵니다.
예) 1_Tortoise~... , 2_Tortoise~..., 3_Tortoise~...
또는 0_Tortoise~... , 0_Tortoise~..., 0_Tortoise~...

재부팅

3. Icon Overlays 에서 Network drives 설정
상위폴더에서 우측마우스 클릭
TortoiseSVN 접근 ---> Settings 클릭 ---> Icon Overlays 의 Drive Types 에서 
Network drives 체크 후 확인.

 

[출처] totoise SVN 아이콘 그림이 표시 안될 때|작성자 성남코딩

 

'잡다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 Samsung 840 EVO 120G (mSATA) 성능 테스트  (0) 2014.12.05
훠링 무선 카팩 사용 후기  (1) 2014.11.12

MFC  에서 ListBox에 출력 된 정보들을 *.txt 파일로 저장할 때

 

void CContentLogDlg::OnSave(void)
{

 LPCTSTR lpszFilter = _T( "txt파일(*.txt)") ;

 // 파일 공용컨트롤 대화상자 인스턴스 생성.. 첫번째 인자가 TRUE 이면 읽기 FALSE 이면 쓰기.
 CFileDialog FileDlg( FALSE, _T( ".txt" ), NULL, OFN_HIDEREADONLY | OFN_OVERWRITEPROMPT, lpszFilter, NULL );

 if( FileDlg.DoModal() == IDOK )   
{

   CString sPath( FileDlg.GetPathName() );
   CFile File( sPath, CFile::modeWrite | CFile::modeCreate );

   CString sData = NULL;
   
    for( int i=0; i < m_ctrLogList.GetCount() ; ++i){
        m_ctrLogList.GetText( i, sData );
        sData += _T("\r\n");
        File.Write( (LPCTSTR)sData, sData.GetLength() * sizeof(TCHAR) );
  }

File.Flush();
File.Close();

CContentLogDlg::AddLog("File Save Complite!!");


 }

+ Recent posts